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정보

무좀의 원인, 피부사상균의 특성 및 진단에 대한 정리

by 닥터류 2022. 2. 10.

무좀은 발에 피부사상균의 침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가려움과 불쾌한 냄새로 많은 고생을 하게 하는 질병입니다. 무좀의 원인은 무엇인지, 피부사상균의 특성, 진단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좀의 정의

피부사상균으로 인한 전염성 피부병

무좀은 피부사상균으로 알려진 곰팡이가 발, 특히 발가락 사이사이에 침입하여 발생하는 전염성 피부병입니다. 발 백선증이라고도 불리는데, 백선증 자체가 피부사상균에 의해 우리 몸의 피부, 털, 발톱, 손톱 등에 감염된 피부병을 총칭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발에 백선증이 생긴다면 발 백전증이고 이것이 무좀입니다. 

 

피부 사상균은 피부 가장 바깥쪽에 있는 층인 각질을 녹이는 Keratinase라는 효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부의 머리털, 각질층, 발톱에 있는 각질에 침범하여 이 각질을 영양분으로 살아가는 곰팡이입니다. 피부사상균의 종류는 전 세계적으로 42개 정도의 종이 알려져 있으며, 주로 Epidermophyton, Trichophyon, Microsporum 등 3가지에 속하는 10가지의 종이 한국에서는 발견됩니다. 

 

 

피부사상균의 특성

피부사상균은 생태학적으로 동물 친화성, 사람 친화성, 흙 친화성으로 피부사상균을 분류를 하게 됩니다. 사람 친화성 피부사상균으로부터의 감염이 가장 흔하게 일어나지만 흙 친화성 균이나 동물 친화 성균이 감염을 일으키게 되면 염증이 심한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좀의 진단

KOH 검사

피부사상균 곰팡이에 의한 백선증 진단 방법 중 가장 간단한 방법은 KOH 검사가 있습니다. 이 방법은 백선증 의심 피부 각질이나 손발톱의 각질을 슬라이드에 얹어놓고 10~30%의 KOH 용액을 떨어트립니다. 이후 덮개 유리로 덮어서 각질이 녹을 때까지 대기를 한 이후 현미경으로 관찰을 하면 곰팡이균이 있는지에 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검사에 사용되는 KOH 용액은 각질의 단백질과 지방에는 영향을 주지만 곰팡이균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이유는 곰팡이균의 세포막 구성 성분인 키틴과 당단백질을 녹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진균 배양 검사

두 번째 검사 방법으로는 진균 배양 검사가 있습니다. 배양 검사의 경우 KOH 검사와 함께 가장 중요한 검사라고 알려져 있으며, 곰팡이균의 정확한 종류까지 구별이 가능하기 때문에 치료제와 방법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피부 각질, 손발톱, 물집을 긁어서 사브로 덱스트로오스에 4주 동안 배양을 하게 되면 곰팡이가 증식하여 균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백선증은 발에 생기면 무좀이지만 발에만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신체 어느 부위든 피부사상균에 의한 감염이 일어날 수 있으며, 발생 무위에 따라 머리 백선증, 얼굴 백선증, 몸 백선증, 수업 백선증, 사타구니 백선증, 손발톱 백선증 등 다양한 게 존재합니다. 발생 부위에 따라서 임상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 모두 다르며, 치료방법이나 치료 기간에도 차이가 발생합니다. 실제 백선증 발생 부위별 조사에 따르면 남녀 모두 손발톱이 가장 많고 그 다름 발, 몸, 사타구니 순이였습니다. 

 

무좀의 발생 비율

백선증은 남자가 더 많이 생길 것으로 예상하지만 실제 손발톱 무좀은 여성이 62만 명으로 남성의 53만 명에 비해 더 많은 진료를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백선증의 경우 50대가 가장 많이 발생하고, 60대, 40대, 30대 순으로 발생 빈도가 높았습니다. 무좀은 고온다습한 매년 여름 기간인 7~8월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기후적인 영향이나 땀, 수영장, 공중목욕탕 같은 공동 장소에서 사람들이 많이 모여 전염이 쉽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백선증을 신체 부위로 나누어서 살펴본다면 역시 가장 먼저 많이 생기는 손발톱 백선증을 알아보겠습니다. 피부사상균이 발톱으로 침입하게 되면 무좀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는데, 발톱 끝부터 생긴다면 원위, 손발톱 밑 형이고 보통 이 형태가 가장 흔합니다. 몸과 가까운 부분부터 생긴다면 근위 손발톱 밑 형이고 발톱 전체 부분이 동시에 하얗게 변한다면 백색 얕은 형입니다. 

 

무좀의 발생 원인

발톱 백선증이 생기는 원인으로 꽉 끼는 신발 착용, 장화, 군화, 안전화 같은 밀폐된 습한 신발을 신는 것이 있습니다. 최근 발톱 백선증이 증가하는 원인은 면역력 감소에 의한 것과 수영장이나 운동시설에서 맨발로 다니는 시설 사용 증가, 라커룸 같은 시설 공유 등이 있습니다. 피부 사상균은 발톱 끝으로 침입해 들어오고 발톱 밑, 발톱 바닥의 피부에 많다고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