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정보

다양한 어지럼증에 대한 표현의 구별, 발생원인, 증상 및 치료방법

by 닥터류 2022. 4. 10.

다양한 어지럼증에 대한 표현의 구별, 발생원인, 증상 및 치료방법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양한 어지럼증에 대한 표현의 구별

우리가 어지럽다는 표현을 할 때는 사실 다양한 증상들을 어지럽다는 말로 할 때가 있습니다. 어지럽다고 하는 것은 내부에 정말 다른 질환이 다 포함이 될 수 있는데, 의사도 상당히 어려운 부분이 많다고 합니다. 어지럽다고 하는 것이 그래서 전문적으로 나누어지기도 하는데 먼저 주변이 빙글빙글 돈다고 느끼는 현훈이라는 것이 있고, 다른 하나는 가만히 평형을 유지하지 못하는 균형장애가 있으며, 쓰러질 것 같은 실신성 어지럼증이 있습니다. 또한 실제로는 어지럽지 않지만 그렇게 느끼는 심리적으로 어지럽다고 말하는 증상도 있습니다. 이런 증상들을 구별하여 알아내는 것이 병원에서 올바르게 치료방법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이니다. 주변이 움직인다는 느낌이 발생하는 현훈은 대부분 말초나 중추성 전정 질환인 경우가 많은데, 귀에 있는 세반 고리관 같은 기관에 문제가 발생한 것입니다. 대체로 현훈이라는 것은 머리가 갑자기 움직이게 되면서 악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어느 한쪽으로 움직이거나 특정 동작으로 인해 유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립성 저혈압과 혈관 미주신경 발작, 부정맥으로 인한 어지럼증의 증상과 치료 방법

기립성 저혈압과 부정맥, 혈관 미주신경 발작 등에 의해서 어지럼증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또 균형 장애도 있는데, 누워있거나 앉아 있을 때에는 괜찮지만 일어서거나 걸으려고 할 때 갑자기 중심을 잡지 못하고 쓰러지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경우는 종종 소뇌나 운동 조절을 담당하는 뇌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인성으로 몸이 떠있는 느낌이나 넘어질 것과 같은 느낌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공황장애, 불안장애, 광장 공포증, 우울증 등 심인성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시력의 이상으로 인한 어지럼증과 실신성 어지럼증의 증상과 치료 방법

이런 것에 더해 눈의 이상으로 인해 어지럼증을 느끼는 경우도 있는데, 안경을 새로 바꾸거나 시력의 이상이 생기면서 보이는 시각과 전정계가 받아들이는 것의 불일치로 인해 어지럼증이 나타납니다. 실신성 어지럼증도 있는데, 정신을 잃을 것 같은 느낌이 들고 어지러워서 쓰러질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하는데, 이런 것은 종종 저혈당에서도 발생합니다. 이외에도 전정계, 시각계, 체성감각계 등 복합적으로 문제를 가지고 있어 어지럼증이 나타나거나 실제는 두통이거나 기억력 감소인데 이러한 문제의 표현을 어지럼증으로 하는 환자들도 있습니다. 

 

 

전정신경염과 BPPV의 증상과 치료 방법

전정신경염은 귀에 있는 평형을 담당하는 기관인 전정기관과 반고리관 등이 평형감각을 받아들이는 신경 쪽에 염증이 생기게 되어 발생합니다. 평형을 받아들이는 신경염증으로 인해 올바르게 신호가 전달되지 못하고 어지럼증을 호소하며 구토, 오심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뇌졸중 중에 뇌간이나 소뇌에 생기는 뇌졸중이 어지럼증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감각이나 다른 운동 기능의 저하는 없으나 어지럽고 균형을 잡는데 어려움을 겪는 상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어지럼증을 겪는 노인 중 25%가 소뇌경색과 관련되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또한 많은 어지럼증에 양성, 체위성, 돌발성, 현훈 성이라는 것이 많은데, 보통 의사들이 BPPV라고 말합니다. 주로 아침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고개를 돌릴 때 발작적으로 갑자기 어지럼증이 발생을 합니다. 이것은 귀안에 있는 세 반고리관 안에 이석이 만들어지면서 발생합니다. 이비인후과나 응급실에서 의사들이 특정 소리를 시술하며 발생하는 어지럼증을 보거나 눈동자의 모습을 통해 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메니에르 병의 증상과 치료 방법

메니에르 병이라는 것은 약간은 생소한 질환인데, 귀 안쪽 내이에 있는 림프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갑자기 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나타나서 여러 시간 동안 계속되며 귀 충만감이나 이명 등이 나타나면서 청력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메니에르 질환은 저염식을 하거나 이뇨제나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는 처방을 통해 치료하며 때로는 너무 심해 견디기 어려울 경우 속귀를 파괴하는 수술을 하기도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