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치료 정보

혈액의 구성성분과 헤모글로빈의 생성과 파괴 과정, 어지러움과 빈혈

by 닥터류 2022. 4. 7.

혈액의 구성성분과 헤모글로빈의 생성과 파괴 과정, 어지러움과 빈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지러움과 빈혈

우리가 보통 어지러움을 느낀다고 하면 빈혈이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빈혈과 단순 어지럼증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빈혈이라고 하는 말은 피가 모자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피는 겉으로 보기에는 단순 액체 같지만 피 안에는 여러 성분이 녹아들어 있는 액체로 되어 있습니다. 먼저 혈장이 있는데, 혈장 속에는 우리가 혈구 세포들, 백혈구, 혈소판, 적혈구 등이 함께 어우러져 있습니다.

 

 

혈액의 구성 성분과 차지하는 비중

성인의 경우에는 보통 혈액이 차지하고 있는 부분이 4~5리터 정도 되며 혈액 안과 혈관 속을 혈장과 혈구들이 어우러져 흘러가는 것이 우리가 보는 혈액 흐름이 되겠습니다. 먼저 적혈구를 살펴보면 적혈구는 약간 도넛 형태로 가운데가 움푹 들어간 모양의 원형입니다. 적혈구의 기능은 산소를 실어 신체의 각 조직으로 분배하고 조직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다시 폐로 가져가서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적혈구 내에는 미토콘드리아, 핵과 같은 것은 없고 산소를 전달하고 옮기는데 적합한 형태의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보통 수명이 120일 정도이고 적혈구라 부르는 이유는 헤모글로빈이라는 혈색소가 안에 있어 붉은색을 띠고 있기 때문입니다. 

 

 

헤모글로빈의 구조와 역할

헤모글로빈의 구조는 철 이온이 있는 4개의 헴과 4개의 글로빌인 결합이 되어 있는 형태로 보통 성인들은 2개의 알파 체인과 2개의 베타 체인을 가지고 있고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신생아의 경우에는 2개의 알파 체인 및 2개의 감마 체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보통 혈색소 1g의 경우 산소 1.34ml과 결합을 하여 운송이 됩니다. 적혈구에서 생성이 되는 부위가 뼈 내부 골수에서 생성이 됩니다.

 

 

헤모글로빈의 생성과 파괴 과정

뼈 내부 골수에서는 전능성 간세포라고 불리는 Stem 세포에서 분화 과정을 통해 핵이 빠져나간 후 남는 것이 적혈구가 됩니다. 여기에는 철 이온이나 엽산, 다양한 비타민이 관여를 하고 있으며 이것들을 빈혈치료에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생성과정을 거쳐 생성된 적혈구는 대략 120 정도의 수명을 가지며 골수에서 나와 혈액을 돌아다니며 수명을 다하게 되면 골수나 비장, 간에서 파괴가 되고 성분별로 분해가 되어 재사용이 되거나 빌리루빈이 되어 담즙을 통해 배설이 됩니다. 

 

 

빈혈의 성별 진단과 처치가 필요한 기준

그래서 빈혈이라고 부르는 질병은 우리가 순환하는 혈액 중 적혈구의 총량이 정상보다 낮은 것을 빈혈이라고 말을 하며 헤모글로빈 농도 검사를 통해 진단을 내립니다. 그런데 진단 기준이 남성과 여성에게 약간씩 다르게 적용이 되는데, 보통 남성의 경우 혈액 13g 여성의 경우 11g 이하가 되면 빈혈이라고 말을 합니다. 실제 이보다 조금 적다고 해서 그렇게 뚜렷한 증상이 발현이 되지는 않고 수혈이 필요하거나 의학적 처치가 필요한 기준으로는 보통 당 8g 밑으로 떨어졌을 때 처치가 시행이 됩니다. 

 

적혈구 부족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원인

적혈구가 부족하게 되는 이유는 먼저 생산이 잘 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적혈구를 충분히 생산해내야 하는데 잘 만들어 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적혈구를 만들더라도 자꾸 파괴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수명이 120일 정도가 되어야 하는데 그렇게 충분하게 사용을 하지 못하고 자꾸 조기에 부서지기 때문에 더 많이 사용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어디론가 자꾸 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빈혈의 주요 증상과 발생 원인

빈혈의 증상은 어지러움증을 호소하는 것도 있지만 결국 적혈구가 모자라 신체 각 조직에 산소를 잘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다양한 문제들이 나타납니다. 폐에서 각 조직으로 산소를 운반해야 하는데 적혈구가 부족하여 전달에 어려움이 있어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이나 숨이 가빠지는 증상이나 피부가 하얗게 창백하게 변하는 증상 등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