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민반응을 일으키는 히스타민의 정의와 유발 작용, 알레르기 대처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히스타민의 정의와 유발 작용
우리 신체의 과민 반응을 말할 때 꼭 하나 알고 있어야 하는 물질 중 하나가 히스타민입니다. 과민 반응으로 인해 두드러기 증상을 일으키는 주요 화학 매개 물질들입니다. 히스타민이 하는 일은 몸에 혈관을 시켜 몸에 발진을 일으키거나 혈압을 떨어뜨리고 혈관에 투과성 증가를 통해 입술이나 기도, 눈두덩이와 같은 곳의 점막이 부어오르게 만듭니다. 또 발진 부위가 튀어나오게 만들기도 하고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작용을 하기도 합니다. 그 외에도 기관지 수축이나 기도 점막을 붓게 만들어 기도가 좁아지게 하여 숨을 쉬기 어렵게 만들거나 답답함을 유발합니다. 히스타민은 장 운동을 항진하는데도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복통을 일으키기도 하고 결국 이러한 작용으로 두드러기의 심한 형태라고 할 수 있는 혈관부종을 일으키거나 사망에 이르게 하는 아나필락시스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알레르기 원인
우리가 알레르기 중에 흔한 원인으로 식품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많습니다. 음식물을 섭취한 뒤에 원치 않은 반응 중 과민반응에 의한 것들을 식품 알레르기라 말을 합니다. 보통 흡입항원인 꽃가루와 같은 것을 들어마셨을 때 대개 제1형의 면역 기전을 통해 즉각 나타나게 되지만 식품의 경우 타입 1에서부터 타입 4까지 모든 기전 발생이 가능하고 즉시 반응이 나타나는 것부터 만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식품 알레르기나 아나필락시스를 일으키는 여러 물질들에 대해 조사를 한 자료를 보면 식품 중 가장 흔한 것은 생선, 해산물, 돼지고기, 우유, 밀가루, 닭고기, 계란 등이 있었다고 합니다.
식품 알레르기에 대처하는 방법
식품 알레르기에 대해 대처를 하는 방법 중 일단 가장 먼저 회피 요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문제를 일으키는 식품을 섭취하지 않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우유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경우 우유를 멀리해야 하고 우유가 들어있는 유제품도 섭취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국 어떤 식품에 함유된 것인지를 잘 살펴 본인에게 문제가 된 식품은 철저하게 배제를 하여 먹는 것이 필요합니다.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면 적절한 항히스타민제나 증상 완화를 위한 약물을 투여하여 치료를 합니다. 이런 반응들이 더 일어나지 않도록 면역 요법이 시도가 되기도 하는데, 우유나 땅콩 등 일부 식품 알레르기에 대해서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아직 정립되어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합니다.
식품 알레르기의 특성
식품 알레르기의 경우 어릴 때 나타나더라도 나이가 들면서 빈도가 점차 줄어들기도 합니다. 우리 몸에서 문제를 발생시키는 식품 알레르기 항원은 적절하게 점차 그 수용성이나 저항성이 강화되어 줄어드는 것입니다. 두드러기라고 말하는 것은 벌레에 물리거나 음식물 등 외부 항원에 의해 피부가 붉거나 하얗게 부풀어 오르면서 심한 가려움을 호소하는 것입니다. 음식물이나 약물, 감염 접촉에 의해서도 일어나기도 하는데, 식품이나 비누, 털이나, 샴푸, 방부제 등에 접촉을 했을 때도 두드러기 반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아나필락시스의 정의와 두드러기의 원인, 과민 반응의 4가지 타입에 대한 정리
아나필락시스의 정의와 두드러기의 원인, 과민 반응의 4가지 타입에 대한 정리
아나필락시스의 정의와 두드러기의 원인, 과민 반응의 4가지 타입에 대해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나필락시스의 정의와 두드러기의 원인 아나필락시스의 정의 두드러기와 아나필락시스
drryu.tistory.com
신기하게도 물리적인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는데, 피부에 눌러 글을 쓰거나 하면 부어오르는 피부 묘기증이라 말하는 일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열 자극에 의해 부어오르는 경우도 있는데, 태양 빛이나 진동, 물 등의 자극에 의해서도 두드러기가 일어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콜린 두드러기라고 하여 스트레스를 받거나 운동을 하고 땀이 많이 나거나 매운 음식을 먹은 뒤 체온이 상승하게 되면 아세틸콜린 성분이 과다 분비가 되면서 두드러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건강상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처 치유를 위한 지혈 반응, 염증기, 개조기, 조치사항 (0) | 2022.05.03 |
---|---|
두드러기와 항히스타민제 및 아나필락시스의 기원, 정의, 진단 및 치료방법 (0) | 2022.04.27 |
자율 신경 장애, 균형장애, 실신성 어지러움에 대한 정리 (0) | 2022.04.20 |
심뇌혈관 질환의 정의와 특징 및 뇌졸중, 뇌출혈, 뇌경색 용어 구분 방법 (0) | 2022.04.18 |
스스로 목숨을 끊는 환자 예방 기관과 환자 발견 시 대처 방법 (0) | 2022.04.14 |
댓글